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끈벌레 사진 모음, [끈벌레 동영상] 독성,피해사례



한강 하류에 끈벌레 또 대량 출몰…어민들 "재앙수준"

어촌계 "끈벌레로 인해서 실뱀장어 90% 폐사" 주장…수산과학원 끈벌레 조사 계획

봄철 한강 하류에서 조업을 하고있는 어민들이 끈벌레 대량 출몰로 인해서, 피해를 보고 있다고 합니다.

'끈벌레' 때문에 늘어나는 어민들의 주름살..

검색어에 끈벌레가 올라와서 무언가 봤더니 생각보다 어마어마한 놈들이었네요.

끈벌레는 닥치는대로 각종 어류를 잡아먹는 포식자라고 합니다..

 

끈벌레 뉴스는 4월 5일 식목일인 오늘, 고양시 쪽의 어민들에 대한 뉴스 인터뷰를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3월 말 부터 조업을 시작한 이후,

한강 하류인 행주대교와 김포(신곡) 수중보 부근 에서 붉은 끈벌레가 대량으로 발견이 되었다고 합니다.

어민들이 실뱀장어 등을 잡으려고 설치한 그물에 끈벌레가 함께 걸리게 되어 알려진 것입니다.

30여명으로 구성된 행주어촌계는 어민 1인당 약 7개씩 포획용 그물을 한강에 설치를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물마다 끈벌레와 대다수 죽은 실뱀장어가 섞인 채로 발견이 되었다고.

 

끈벌레 재앙
끈벌레, 한강서 무더기로 출몰 '득실득실

끈벌레 한강 대량서식, 각종 어류 닥치는대로 먹는 '포식자'

심할 때는 실뱀장어 한두 마리를 제외하곤 모두 끈벌레로 그물이 가득차기도 했다고 합니다.

사진처럼 온통 끈벌레네요..

끈벌레가 나타난곳은  행주대교, 김포대교, 가양대교 근처 사실상 한강 전부가 끈벌레의 피해로 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뜻입니다. 바퀴벌레와 같이 번식력과 생명력이 끈질기고 매우 강하다고 합니다. 사실이라면 앞으로 끈벌레 피해사례가 훨씬 늘어날 듯 한데요.


끈벌레

끈벌레의 피해 범위는 점점 넓어지고 있습니다,

한강뿐만 아니라 임진강 쪽에서 조업하시는 분들에게서도 같은 끈벌레 피해가 나타났다고 하는데요.

박찬수 행주어촌계장은 "7년 ∼ 8년 전 처음 붉은 끈벌레가 한두 마리 정도 보일땐,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았는데 올해는 끈벌레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퍼졌다"라면서 "이곳은 마치 끈벌레로 인해서 재앙이 찾아온 것 같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끈벌레 때문에 실뱀장어 90%가 폐사하고 있다"면서 "어제 오늘은 수확이 하나도 없다".고 밝힐정도..

 서울에서 파주쪽까지 퍼졌다니.. 무섭네요..


끈벌레

끈벌레 사진, 끈벌레는 바닷속 유해생물로 알려져있습니

이 어머무시한 끈벌레가 처음 알려진것은 2013년 봄 한강 하류에 나타나면서 국내에 처음 보고가 되었다고 합니다.

 

끈벌레 모습. 끈벌레 사진

끈벌레는 20∼30㎝ 크기로 머리 부분은 원통형에 가깝지만 꼬리 부분으로 가면서 납작해져 이동성이 좋고 주로 모래나 펄 속, 해조류 사이, 바위 밑에 서식을 하는 생물입니다.

신경계 독소를 뿜어내 마비시키는 방법으로 환형동물, 갑각류, 연체동물 등 어류를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 등 포식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끈벌레 재앙 폐사한 실뱀장어 모습

끈벌레 재앙

앞서 처음으로 피해가 보고되었던 2013년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는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등과 끈벌레에 대해서 합동 조사를 한 결과 끈벌레에서 독성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끈벌레가 실뱀장어의 생존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이같은 결과에 어민들은 강력히 반발하며 "눈앞에 끈벌레 피해가 자명한데 독성이 없다는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

"끈벌레가 아니라면 다른 원인이라도 찾아내 폐사의 원인을 정확히 밝혀내야 한다"고 절박함을 보이고 있습니다.

어민 심씨는 "바닷물이 들어올 때 실뱀장어를 잡아서 생계를 이어가는 데 끈벌레 피해가 막심하다" "어젯밤 조업을 마친 어민들이 모여 끈벌레로 인한 피해 때문에 눈물을 흘렸다".

 

충격적인 끈벌레사진

뉴스 끈벌레 사진

끈벌레

충격적인 끈벌레사진, 정말 장난 아니게 많네요.물고기는 달랑 5마리뿐.. 어떡해.ㅠㅜ



끈벌레로 인해서 실뱀장어를 키워 먹고 사는 어민들은 죽을맛..

끈벌레는 보통 개펄, 해조류, 모래 그리고 바위밑 같은곳에 산다고 합니다.  끈벌레의 길이는 20센티를 넘지 않으나, 끈벌레의 종이 몇가지가 있는데, 일부 종의 경우에는 몇미터나 되는 엄청난 끈벌레도 있다고 합니다. 그정도면 벌레가 아니라 무슨 괴생명체 일듯... 가장 큰 끈벌레는 30미터까지도 갔다고 하네요.


끈벌레 비상

끈벌레는 머리와 몸통 둘로 나뉘는데요. 끈벌레의 표면은 섬모로 덮혀있으며, 끈벌레 꼬리는 뾰족한 모양으로 되어있다고 합니다. 먹이를 발견하게 되면 관처럼 생긴 주둥이로 먹이를 움켜잡아 먹는다고 하네요. 끈벌레는 암수 즉 남녀가 따로 있긴 한데, 가끔은 무성생식은 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뉴스에서 끈벌레로 인한 피해를 어민들의 목소리로 들어보니 정말 대책이 필요해 보였습니다.

징그러운 끈벌레... 일도 고될텐데 이런것이 갑자기 생겨나서 큰 고민거리까지 안겨주네요.

끈벌레와 실장어가 엉키면서 진액이 묻는데, 그 진액이 묻으면 실장어가 그냥 죽어버린다고 합니다.

끈벌레는 무슨 독성이 있는걸까요?


왼쪽은 장어, 오른쪽이 끈벌레

일단 끈벌레가 무서운 이유는, 얇고 납작한 몸통으로 헤엄치면서 여기저기 아주 잘 돌아다닌다고 합니다. 좁은 틈사이도 잘다니구요.. 그리고 '신경계 독소'를 뿜어내기 때문에 끈벌레의 피래를 받은 어류는 마비가 되어 죽는다고 합니다. 갑각류까지 먹는다는 말이 있는데 끈벌레는 도대체 어디서 나오게 된걸까요.


끈벌레, 담당 공무원의 말

해당 부처에서는 현재 끈벌레로 인한 상황이 딱 뭐라고 말하기가 그렇고 조사를 시작해야 될 것 같다고 이야기 합니다.

언론에서 나서주지 않았더라면 피해가 더 오래 갈 수 있었겠어요..

제작년에 조사를 한번 했다고 하는데.. 그것도 국립수산과학원 부터 시작해서,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등 관련 부처들이 함께 4번의 합동조사까지 했었다고 하는데요..

다시 한다고 해서 달라질건 없어 보입니다.

당시에도 끈벌레를 잡아서 독성을 추출해봤을때는 삭시톡신, 테트로드톡신 등의 독성물질이 나오지 않았다고 해요.

그래서 당시에는 끈벌레의 피해를 인정하지 않았다고 하네요




아래는 끈벌레 동영상 뉴스랑, 끈벌레 동영상이라는 제목으로 올라온 영상 입니다.

끈벌레 영상

JTBC 끈벌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