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재미있는 방송+사연+동영상/짧고 웃긴 - 화제의글 모음

슈뢰딩거의 개 .jpg 앜ㅋㅋ 눈을 뗄수 없다 푸하




슈뢰딩거의 개 .jpg 앜ㅋㅋ 눈을 뗄수 없다 푸하

푸하하하 이거 도대체 뭐야 ㅋㅋㅋ 아 이 개 똥개인데 너무 귀엽네 ㅋㅋ 슈뢰딩거의 개 이름한번 기가 막히게 지어놨네 ㅋㅋ 그래 저건 슈뢰딩거의 개 맞네 저건 앉아있는것도 아니고 서있는것도 아니여 ㅋㅋㅋ 각기도 개인가 ㅋㅋㅋ

사진 찍은 사람도 대단하고 ㅋㅋㅋ 저 슈뢰딩거의 개도 찍어달라는듯 포즈취하는 거같음 ㅋㅋㅋㅋ

저런개 별로 안좋아하는데 슈뢰딩거의 개는 진심 귀여움 ㅋㅋㅋ

슈뢰딩거의 개. (부제 - 앉아있는 것도, 서 있는 것도 아니다)

 

슈뢰딩거의 개는 슈뢰딩거의 방정식, 슈뢰딩거의 고양이에서 따왔는데요

 

 

슈뢰딩거의 고양이에 대한 글을 보시죠(좀 어렵습니다-_-)

슈뢰딩거의 고양이(Schrödingers Katze)는 1935년에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에르빈 슈뢰딩거가 양자역학의 불완전함을 보이기 위해서 고안한 사고 실험이다. 양자역학에 의하면, 미시적인 세계에서 일어나는 사건은 그 사건이 관측되기 전까지는 확률적으로밖에 계산할 수가 없으며 가능한 서로 다른 상태가 공존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런데 슈뢰딩거가 제안한 이 사고 실험은 우연적으로 일어나는 미시적인 사건이 거시적 세계에 영향을 미칠 때 어떻게 되는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하나의 패러독스로서 거론된다.

 

 

이 사고 실험에는 알파입자와 고양이 한 마리가 등장한다. 고양이는 외부 세계와 완전히 차단된 상자 속에 들어있고, 이 상자는 독가스가 들어있는 통과 연결되어 있다.

 

독가스는 벨브에 가로막혀 상자 속으로 들어갈 수 없으며, 독가스가 든 통 역시 외부 세계와 완전히 차단되어 벨브가 열리는지 볼 수 없다. 이 벨브는 방사능을 검출하는 기계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데, 그 기계 장치는 라듐 등이 붕괴하며 방출한 알파입자를 검출하여 벨브를 연다. 벨브가 열린다면 고양이는 독가스를 마셔 죽게 된다.

 

그리고 처음에 라듐은 단위 시간 당 50%의 확률로 알파붕괴하도록 세팅되어 있다. 그렇다면 그 단위 시간이 흐른 후에 고양이는 50%의 확률로 살아 있거나 죽어 있을 것이다.


양자역학에 따르면 관측하지 않은 핵은 '붕괴한 핵'과 '붕괴하지 않은 핵'의 중첩으로 설명되지만, 한 시간 후 상자를 열었을 때 관측자가 볼 수 있는 것은 "붕괴한 핵과 죽은 고양이" 또는 "붕괴하지 않은 핵과 죽지 않은 고양이"뿐이다. 그럼 언제 이 계의 중첩 상태가 끝나고 하나의 상태로 고정되는가?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슈뢰딩거는 "죽기도 하고 살기도 한 고양이"가 진짜로 존재한다고 주장했던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는 양자역학은 불완전하며 현실적이지 않다고 생각했다. 고양이는 반드시 살아있거나 죽은 상태여야 하기 때문에(그 둘 사이의 어디쯤이 아닌), 양성자 역시 붕괴했거나 붕괴하지 않았거나 둘 중 하나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코펜하겐 해석에 따르면 이 실험에서는 관측자가 상자를 여는 동시에 상태가 고정된다. 즉 대상에 대한 관측 행위가 대상의 상태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다중 세계 해석에서는 핵이 붕괴하는 순간이 분기점이 되어 고양이가 살아 있는 세계와 고양이가 죽은 세계가 분리되어 평행 우주가 되고 서로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해석한다.

결국 문제는 도대체 관측이란 무엇이냐 입니다. 관측을 하면 그 순간 상태함수가 바뀐다, 이른바 고유함수로 환원된다고 했는데 과연 언제 바뀌는 것이냐? 언제 관측했다고 볼 수 있는가? 어떠한 요소가 있어야 관측이라고 할 수 있는가? 여러 가지 문제가 끊임없이 생길 수 있어요. 그래서 양자역학에서 해석의 문제는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슈뢰딩거의 개 포스팅 너무 멀리 갔네요? ㅋㅋㅋ

슈뢰딩거의 고양이도 있습니다. -> 들어가고 있으면서 나가고 있다 . 슈뢰딩거의 고양이